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6)
[Django] create() vs perform_create() create가 perform_create의 상위집합(Superset)과 같다고 이해하면 쉽다. perform_create는 기본적으로 create 내에 포함되는 메서드로, 객체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을 때 호출된다. 따라서 해당 메서드 내에서 예외가 발생해도 perform_create는 호출되기 전의 상태로 롤백해주지 않는다. 만약 예외가 발생했을 때 적절한 응답을 반환받고 싶다면 perform_create 메서드 이전 단계에서 예외 처리를 해야 하며, 이 부분을 작업하기 위해서는 create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해야한다. 예외 처리 -> create 메서드를 오버라이드예외가 발생하지 않을 때(즉,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을 때에만) -> perform_create perform_create에서는 대충 모델의 ..
OEM 잠금 해제가 안 보일 때 해결 방법 1. 네트워크 연결 확인 (WiFi 혹은 모바일 데이터 활성화) 2. Samsung 혹은 Google 계정 로그인
[Git | SourceTree] remote: Repository not found. github Developer settings에서 생성할 수 있는 personal token의 유효 기간을 이전에 90일로 설정해두어서, 90일이 지난 금일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새로운 git token 생성 > 자격 증명 관리자에서 github 계정 편집 > SourceTree에서 git 저장소 재연결
[Flutter] SharedPreferences를 통한 상태 관리 기기 자체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SharedPreferences Flutter에서 SharedPreferences는 기기 자체에 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구현하려는 경우에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앱의 환경설정 값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SharedPreferences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key-value 형태로 저장됩니다. key는 반드시 문자열 형태를 가지며, set 혹은 get 메소드를 사용하여 각 key에 해당하는 value를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저장 혹은 불러오려는 데이터에 대한 set과 get 메소드는 해당 데이터를 담은 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따릅니다. getString(), getBool(), getInt()... 과 같은 형태로 작성합니다. SharedP..
Git WorkFlow
[Flutter] Cannot create a project within the Flutter SDK. Target directory 'path' is within the Flutter SDK at 'path'. 새로운 Flutter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위와 같은 팝업창이 뜨면, 프로젝트 화면으로 넘어갔을 때 Flutter 라이브러리가 표시되지 않는다.이는 Flutter SDK 파일 안에 프로젝트를 포함시키려고 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다.따라서, 프로젝트 경로를 Flutter SDK가 아닌 다른 경로로 지정해주어 해결할 수 있다.
[Git] 로컬 프로젝트를 github에 push하기 // git 초기화: 현재 디렉토리에서 git을 정의 git init // 프로젝트 파일 전부를 commit에 포함 git add . // 현재 대상화된 branch와 committed된 파일 목록 보기 git status // commit에 "commit" 메시지 남기기 git commit -m "commit" // commit을 시도하는 사용자 정보 정의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email@email.com"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name" // 사용자의 repository 주소 정의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yourname/repositoryname.git // commi..
[Eclipse/STS] An error has occurred. See the log file STS 실행 과정 중에 아래의 에러가 뜨면서 실행이 불가능했다. .metadata\\.log 에서 오류 메세지를 확인 로그 확인 결과, 대략적인 오류 메세지는 아래와 같았다. !ENTRY org.eclipse.osgi 4 0 2023-04-07 16:38:41.089 !MESSAGE Application error !STACK 1 org.eclipse.e4.core.di.InjectionException: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eclipse.ini 혹은 sts.ini 수정 이 오류에 대해 다른 블로그에서는 sts.ini을 수정하여 해결했다고 했지만, 나는 오히려 다른 오류로 이어질 뿐 전혀 해결되지 않았다(만약 sts가 아닌 eclipse 환경에서 실행중이라면, 마찬가..